본문 바로가기

한반도 歷史^文化

120餘年前 조선 반도 外勢 각축戰(1) - 甲申政變(1884) - 甲午改革(1894)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10.7)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이다. 진압 후, 갑신난 또는 갑신전란으로 불리다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는 이를 '갑신혁명당의 난'(甲申革命黨의 亂)이라 불렀다. ko.wikipedia.org/wiki/%EA%B0%91%EC%8B%A0%EC%A0%95%EB%B3%80 갑신정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 ko.wikipe.. 더보기
忠武公 이순신^백성의 男子/勝兵先勝而後求戰 - 원균^王의 男子/不知彼不知己 每戰必敗 ~ 윤석열은? ‘용장(勇將)’ 원균은 포호빙하(暴虎馮河), 범을 맨손으로 때려잡고 황하를 배도 없이 건너간다는 무모함을 가졌다. 또 손자병법의 부지피부지기 매전필패(不知彼不知己 每戰必敗), 적을 모르고 자신도 모르기 때문에 매번 전투에서 질 수밖에 없는 상황을 스스로 만들었다. 이순신은 이기는 환경을 만들어 놓고 전투를 벌이는 선승구전(先勝求戰)의 전략을 활용했다. “승리하는 군대는 먼저 이길 수 있는 상황을 만들고서 싸우기를 구한다(勝兵先勝而後求戰)”는 손자병법에 따른 전략이었다. www.baby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014 [김동철칼럼] 이순신과 원균의 리더십 - 베이비타임즈 ▲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이순.. 더보기
우리말(韓國語)의 기원과 탄생. 발달과정 - 말의 탄생 우리말 - 우랄알타이 語族 (tistory.com) 우리말 - 우랄알타이 語族 blog.daum.net/toyotaloom/13312619 알타이(Altai), 북방민족과 우리와의 관계 중국의 금(金)·청(靑)의 황제가 신라인의 후손이며, 한민족의 형제라면. 또 부여·고구려·칭기즈칸이 고대 알타이 국가인 ‘고 jbk1277.tistory.com 제1부 '말의 탄생- 산과 바다를 너머'에서는 한국알타이어학회 회원들과 함께 몽골과 시베리아 오지에서 우리말의 기원을 찾아보고, 국내에 거주하는 유라시아 대륙 25개국 출신 외국인들을 모아 언어의 유사성 실험도 한다. 또한 한국어를 최초로 알타이어족에 포함시킨 핀란드 언어학자 람스테트의 한국어 자료들도 최초로 공개한다. youtu.be/8cj8kni_wWw 제2부.. 더보기
경주 남산 ^ 선각육존불(線刻六尊佛) - 요단강 - 스틱스 江 - 단테의 조각배 - 招魂 삼국유사에 ‘남산의 절은 하늘의 별처럼 많고, 탑은 하도 흔해 기러기처럼 솟아있다’고 표현함. 앞으로 나온 부분의 석가삼존불(釋迦三尊佛)은 불교의 교조(敎祖) 석가모니(釋迦族의 賢者라는 뜻, 본명은 고다마 싣달타)를 가운데로 하여 그 왼쪽에 인간의 지혜(知慧)를 주관하는 문수보살 (文殊菩薩)과 오른쪽에 인간의 이(理), 정(定), 행(行)의 덕(德)을 다루는 보현보살(普賢菩薩)을 새겨 놓았다. 모두 이승의 인간을 제도하는 부처들이다. 오른쪽 뒤로 들어간 부분의 아미타삼존불(阿彌陀三尊佛)의 가운데 아미타불(阿彌陀佛)은 서방정토(西方淨土)에 있으면서 모든 중생을 제도(濟度)하겠다는 대원(大願)을 품은 부처들이다. 그래서 중생들이 이 부처를 염(念)하면 죽은 뒤에 극락세계에 간다고 한다. 아미타불 좌우에는 대.. 더보기
동래파전 - 쪽파 - 금정산성^막걸리 - 누룩 www.hankookilbo.com/News/Read/201604081029018159 꽃비 맞으며 야들야들 동래파전에 산성막걸리 “캬~” 싱숭생숭 맘이 가만있지 않는다면 그건 봄이 그대 안에 쑤욱 들어 온 거다. 이럴 때의 처방전은 역시 여행이다. 4월에 부산에 간다면 어디를 가면 좋을까? 벚꽃놀이가 한창인 달맞이길도 좋지만 www.hankookilbo.com news.joins.com/article/3825182 대통령의 맛집 ③ 박정희 전대통령이 뒤봐준 막걸리 “박정희 대통령이 우리 마을의 은인이지”78세의 전남선 할머니는 고 박정희 대통령을 평생 은인으로 생각한다. 1964년 만성적인 식량부족사태 해결의 일환으로 정부는 쌀 막걸리 제조를 금지 news.joins.com news.joins.com/.. 더보기
청와대 까부수러 왔수다(3) - 124 軍부대 - 김신조 목사 silvernet.bstorm.co.kr/m/view.jsp?ncd=18343 박정희 목을 따러 왔수다 (1) 박정희 목을 따러 왔수다 (1)... silvernetnews.com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arkms0917&logNo=221046457464&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북한 군사도발 시리즈 6 - 김신조 사건, 1.21사태 다들 교과서에서 근현대사를 배우면서 한 번쯤은 보셨을 김신조 사건, 1.21사태를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이... blog.naver.com msgr-byon.org/client/news/view.asp?Idx=1247&NewsNumb=2017101247 아래 글 참조 ~ 발췌 게.. 더보기
청와대 까부수러 왔수다(2) - 124 軍부대 - 김신조 목사 ( 金聖恩 당시 국방장관의 증언) 『1967년은 유달리 남침 사례가 많아 휴전선 철책부터 보강하기로 했습니다 . 그때까지 휴전선 철책이란 휴전 당시 남북한 군인들이 직접 설치한 원형 철조망 서너 가닥이 전부였습니다. 새빨갛게 녹이 슬대로 슬었고, 가끔씩 보수공사를 한다고 갈아주기는 했지만 인적이 드문 비무장지대에다 예산부 족으로 改修할 생각을 못했지요. 이것을 美 국방성에 부탁해 자재를 공급받 아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철책선을 만든 겁니다. 이 공사는 그 해 겨울, 249km의 휴전선 全지역에서 완성을 보았습니다. 단 미군 지역 4km 정도만 제외되었지요』 美 2사단측은 鐵柱(철주)를 박고 전기 철조망을 쳐 對敵하려는 한국군의 대 응자세를 못 미더워하면서 자신들이 보유한 전자 감응 경보기 등으로 대처 하.. 더보기
청와대 까부수러 왔수다(1) - 124 軍부대 - 김신조 목사 youtu.be/L0CW4mkOdXY news.joins.com/article/23920181 "박정희 목 따러 왔다"는 김신조, 진관사 앞에서 멘붕된 이유 31명은 진관사 계곡을 지나면서 군복을 벗고 배낭에 있던 사복으로 갈아입었다. news.joins.com 124군부대에 대한 공격을 포기하는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반대 급부가 있었나. “박정희 대통령은 북한을 안 때리는 대신 미국으로부터 ‘국군 현대화’란 반대 급부를 얻어냈다. 공군의 F-4 팬텀 전투기와 육군의 T-1 전차와 해군 잠수함이 들어온 것도 그때다. 당시 미국은 최신예 F-4 팬텀 전폭기를 이스라엘에는 판매하고 있었지만, 우리한테는 절대 팔지 않았다. 결국 우리도 보복계획 이후 F-4 팬텀을 미국으로부터 받아냈다. weekly.chosu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