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4大門(5) - 지(智) - 北^弘智門(홍지문) - 黑色 - 겨울(冬)
사대문(四大門)과 홍지문(弘智門) 서울의 사대문과 보신각은 인의예지신에 따라 명명(命名)되었다. 동(東)쪽은 인(仁)을 일으키는 문이라 하여 흥인지문(興仁之門, 興일 흥, 仁어질 인), 서(西)쪽은 의(義)를 돈독(敦篤)히 하는 문이라 하여 돈의문(敦義門, 敦도타울 돈, 義옳을 의), 남(南)쪽은 예(禮)를 숭상하는 문이라 하여 숭례문(崇禮門, 崇높을 숭, 禮예도 례), 북(北)쪽은 지(智)를 넓히는 문이라 하여 홍지문(弘智門, 弘넓을 홍, 智슬기 지)이라 하였다. 그리고 믿음을 널리 전파한다는 보신각(普信閣, 普널리 보, 信믿을 신)은 동서남북 중앙(中央)에 있는 서울의 중심(中心)을 의미한다. 출처 : 시니어신문(http://www.seniorsinmun.com) blog.daum.net/eduzza..
더보기
서울의 4大門(4) - 의(義) - 西^敦義門(돈의문) - 白色 - 가을(秋)
사대문(四大門)과 돈의문(敦義門) 서울의 사대문과 보신각은 인의예지신에 따라 명명(命名)되었다. 동(東)쪽은 인(仁)을 일으키는 문이라 하여 흥인지문(興仁之門, 興일 흥, 仁어질 인), 서(西)쪽은 의(義)를 돈독(敦篤)히 하는 문이라 하여 돈의문(敦義門, 敦도타울 돈, 義옳을 의), 남(南)쪽은 예(禮)를 숭상하는 문이라 하여 숭례문(崇禮門, 崇높을 숭, 禮예도 례), 북(北)쪽은 지(智)를 넓히는 문이라 하여 홍지문(弘智門, 弘넓을 홍, 智슬기 지)이라 하였다. 그리고 믿음을 널리 전파한다는 보신각(普信閣, 普널리 보, 信믿을 신)은 동서남북 중앙(中央)에 있는 서울의 중심(中心)을 의미한다. 출처 : 시니어신문(http://www.seniorsinmun.com) blog.daum.net/eduzza..
더보기
서울의 4大門(3) - 예(禮) - 南^崇禮門(숭례문) - 赤色 - 여름(夏)
사대문(四大門)과 숭례문(崇禮門) 서울의 사대문과 보신각은 인의예지신에 따라 명명(命名)되었다. 동(東)쪽은 인(仁)을 일으키는 문이라 하여 흥인지문(興仁之門, 興일 흥, 仁어질 인), 서(西)쪽은 의(義)를 돈독(敦篤)히 하는 문이라 하여 돈의문(敦義門, 敦도타울 돈, 義옳을 의), 남(南)쪽은 예(禮)를 숭상하는 문이라 하여 숭례문(崇禮門, 崇높을 숭, 禮예도 례), 북(北)쪽은 지(智)를 넓히는 문이라 하여 홍지문(弘智門, 弘넓을 홍, 智슬기 지)이라 하였다. 그리고 믿음을 널리 전파한다는 보신각(普信閣, 普널리 보, 信믿을 신)은 동서남북 중앙(中央)에 있는 서울의 중심(中心)을 의미한다. 출처 : 시니어신문(http://www.seniorsinmun.com) blog.daum.net/eduzza..
더보기
서울의 4大門(2) - 신(信) - 中央^普信閣(보신각) - 黃色 - 토(土) - 人.王^경복궁.근정전
사대문(四大門)과 보신각(普信閣) 서울의 사대문과 보신각은 인의예지신에 따라 명명(命名)되었다. 동(東)쪽은 인(仁)을 일으키는 문이라 하여 흥인지문(興仁之門, 興일 흥, 仁어질 인), 서(西)쪽은 의(義)를 돈독(敦篤)히 하는 문이라 하여 돈의문(敦義門, 敦도타울 돈, 義옳을 의), 남(南)쪽은 예(禮)를 숭상하는 문이라 하여 숭례문(崇禮門, 崇높을 숭, 禮예도 례), 북(北)쪽은 지(智)를 넓히는 문이라 하여 홍지문(弘智門, 弘넓을 홍, 智슬기 지)이라 하였다. 그리고 믿음을 널리 전파한다는 보신각(普信閣, 普널리 보, 信믿을 신)은 동서남북 중앙(中央)에 있는 서울의 중심(中心)을 의미한다. 출처 : 시니어신문(http://www.seniorsinmun.com) blog.daum.net/eduzz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