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정보사령부 특임대/육상 - 나무위키 (namu.wiki)
http://m.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0604100025
https://blog.naver.com/cbg6218/222923716508
친북(親北)세력에 망가진 휴민트(HUMINT) 재건에 10년 이상 걸릴 수도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G&nNewsNumb=202211100014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pvalove&logNo=221097719600
한국연락사무소
Korea Liaison Office(KLO)
켈로부대
KLO는
'코리안 리어전 오피스(Korean Liaison Office)'의 약자로
흔히
'한국 연락 사무소', '한국 연락반', '주한 첩보 연락처' 등으로 번역된다.
당연히 이러한 명칭은
KLO의 특수부대적 성격을 가리고
평범한 통신 사무소로 위장하기 위한 이름이었다.
케이엘오를 줄여서 흔히 켈로부대라 불린다.
1948년 12월 CIC는 공식 철수했으나
그 요원 상당수는 그대로 남아 켈로부대로 알려진 KLO와
미국 극동공군의 대북 첩보기관인
미국 공군 인간첩보부대(USAF HUMINT)로 역할이 옮겨진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에 북파되어 활동하던 특수부대로는
KLO 직할 부대인 특수공작대,
선린상고의 공작대,
서울여상의 공작대가 있었고,
이 외에도
KLO 직할 부대는 아니었지만
귀순자로 구성된 공작팀이 따로 있었다.
소위 동키 부대로 불리는 유격부대들이다.
동키뿐만 아니라
북한 지역에서 1.4후퇴 당시 서해상의 각 섬으로 피난온
반공 무장대원들을 조직해서 편성한 유격부대인
울프팩, 커크랜드 부대도 있었다.
이 부대들은 KLO 직할 부대들과 함께
1951년 7월부터 미 극동군사령부 산하의
제8240유격첩보부대로 통합되어 운용되었고
이때부터
이들 부대들도 모두 KLO부대라고 불리게 되었다.
즉
1951년 6월까지는
미군의 주한 첩보연락처에서 운용하던
몇 개의 지대들을 켈로부대라고 일컬었으나,
1951년 7월에 KLO 직할 부대들과 동키 등
유격부대들을 통합 지휘 운용하는 8240부대가 창설되자
이 부대들이 모두 8240부대 소속이 되었고
이 8240 소속 부대들이
모두 켈로부대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켈로(KLO)부대라는 명칭이
원래는
주한 첩보연락처 소속 부대들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이 좁은 의미의 기존 켈로부대와 유격부대들이
1951년에 8240부대로 통합된 후로는
8240 예하 부대들(기존 KLO + 미국이 운용하던 한국인 유격부대들)을
모두 켈로부대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https://jbk1277.tistory.com/1010
https://jbk1277.tistory.com/396
사막의 여우 ^ 에르빈 롬멜 - 北 아프리카 戰域 - 사막의 쥐 ^ 몽고메리 - 명화 ^ 카사블랑카 (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