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재物 ^ 소설

千江에 비친 달(月)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우국이세 혜각존자(祐國利世 慧覺尊者) 信眉(신미) 大師 ^ 세종 大王 ^ 훈민정음(訓民正音)

https://kr.best-wallpaper.net/Moon-lake-mountains-cold-night-nature-scenery_wallpapers.html

 

세종과 신미 대사의 한글 창제 뒷이야기 < 불서 < 출판 < 기사본문 - 법보신문 (beopbo.com)

 

세종과 신미 대사의 한글 창제 뒷이야기 - 법보신문

“어젯밤 임금님 앞에서 ‘전하, 우리 글자를 만드시옵소서’ 하는 너의 말에 나는 등골이 오싹했다. 허나 임금님께서 잠시 상념에 잠기시는 것을 보고 임금님과 너의 뜻이 통하는 것을 느꼈다.

www.beopbo.com

 

중이 임금 눈에 들어 무엇합니까” / 정찬주 장편 ‘천강에 비친 달’ -1-

 

 

1420년 8월 6일.

흥천사 경내는 이른 새벽부터 1백여 명의 스님들로 붐볐다.

사미승은 물론 동자승들까지 경내를 바삐 오갔다.

 

법당에 올릴 재물을 두 손으로 받쳐 들고 공양간을 들락거렸다.

 

노비들은 빗자루를 들고 산문 앞 사하촌의 고샅길부터 쓸었고,

여종들은 법당 마룻바닥은 물론 기둥까지 마른 천으로 닦았다.

처마 그늘에 선 벼슬아치들도 땀을 바질바질 흘렸다.

 

원경왕후의 4재를 감독하기 위해 의정부에서 나온 벼슬아치들이었다.

 

태종의 비(妃)인 원경왕후 여흥 민씨는

양녕, 효령, 충녕(세종), 성녕 등 4대군과

정순 등 4공주의 어머니였다.

 

늙은 당상관까지 나와 재준비를 감독하고 있는 것은

세종이

특별히 흥천사로 거동한다고 지시를 내렸기 때문이었다.

 

 

“중이 임금님 눈에 들어서 무엇을 합니까?

저는 벼슬을 얻어

출세할 마음도 없고 상을 받아 부를 쌓을 마음도 없습니다.

다만

은사님 문하에서 불도를 닦아 성불을 하고 싶을 뿐입니다.”

 

“좁은 소견을 버려야 한다.

인연을 따르는

수연행(隨緣行)을 닦는 것이 도(道)에 가장 빨리 드는 길이다.

 

성불하겠다는 집착마저 내려놓아야

마침내

진승(眞僧)이 될 수 있느니라. 알겠느냐?”

 

앳된 중을 이리저리 다독거리고 있는

스님의 당호는 함허당(涵虛堂),

법호는 득통(得通),

법명은 기화(己和)였다.

 

3년 전 한 겨울이었다.

속리산에 며칠째 폭설이 내린 뒤 눈보라가

산허리의 소나무,

잣나무 가지들을 뒤흔들어대는 날이었다.

 

회암사에서 복천암으로 내려와 잠시 머물던 스님은

거지행색의 소년에게

아랫목이 설설 끓는 죽석이 깔린 방을 내준 분이었다.

 

 

https://blog.naver.com/cbg6218/222690852190

 

天江에 비친 달(月) ^ 연재소설 - 우국이세 혜각존자(祐國利世 慧覺尊者) 信眉(신미) 大師 ^ 세종

지금까지 한글창제의 정설은 세종이 집현전 학사들의 도움을 받아 창제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나 세종...

blog.naver.com

 

월인천강지곡.pdf
0.90MB
월인천강지곡에 대하여.pdf
0.61MB

https://www.korean.go.kr/nkview/nklife/2003_3/2003_0315.pdf

 

 

https://ko.wikipedia.org/wiki/%ED%9B%88%EB%AF%BC%EC%A0%95%EC%9D%8C

 

훈민정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훈민정음』(訓民正音, 중세 한국어: 훈민정음)은 한글의 옛 이름(첫 이름)으로 세종대왕이 창제한 문자의 명칭이자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와 사용법등을 해설해 놓은 책의 제목이기도 하다. 세

ko.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