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科學과 哲學 N 數學

이야기 수학사^6-1 ~ 이야기 수학사^6-5 ~ 天文學과 數學

혼천의

조선시대 최고의 과학자로 이름을 떨쳤던 이천은 간의, 소간의, 혼의, 혼 상, 해시계 등

천문 기기의 제작을 책임 지면서 세종시대의 인쇄술 발달에 크게 공헌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영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이름이죠?

사실 그는 천문학자 라기보다는 공학자에 더 가깝습니다.

하지만 과학자 이천과 함께 해시계 현주일구등 많은 천문 기기를 제작하는 데 힘써

우리나라의 천문학 발전에 큰 도움을 준 중요한 인물입니다.

 

younghwan12.tistory.com/3595

 

조선시대 별자리지도와 천문 관측기구

 천문학은 우주의 구조와 천체의 현상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시간과 방위를 정하고, 농업에 필수적이었기때문에 인류와 함께 해온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고대 이래로 통치자는 그 권력을

younghwan12.tistory.com

그리고 조선 전개 최고의 천문학자라 불리는 이순지 는

천문 , 역산, 지리, 수학 등의 분야에서 크게 공헌을 했으며

세종대왕의 명을 받아 옛 학자들의 자료를 엮어 천문, 역법 등의

여러 책들을 편찬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천문 기기를 사용해 직접 천문을 관측하기 도 했죠.

이순지와 함께 세종대의 천문 역사 등의 분야에 크게 공헌한 또한 사람이 김담 입니다.

그는 이순지 와 함께 칠정산내외편을 저술했는데

이것은 조선을 기준으로 한 최초 역법 이기도 합니다.

 

www.kasi.re.kr/kor/publication/post/videoGallery/10451?cPage=3

 

위대한 천문학자 | 동영상 | 고객참여 | 한국천문연구원

이용이 거부 되었습니다. 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Start Page 정말로 삭제 하시겠습니까? Do you really want to delete? (화면 자막) 본 동영상은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지식정보자원관리 사

www.kasi.re.kr

brunch.co.kr/@inchaijung/158

 

07화 새롭지 않은 신세계 발견

바스쿠의 희망은 없다 | 빈번히 인도를 드나든 술탄들도 아마 그랬을 것이다. “혹 이 길이 아닌가?” 말 그대로 물리적 길이든, 어떤 사명을 띤 길이든, 그 길을 가다가 순간 길치가 된 듯 방

brunch.co.kr

 

천체의 위치와 운동관측을 기록한 스승의 자리를 20년 이상 연구한 끝에

케플러는

그 유명한 케플러의 3가지 법칙 을 탄생시키게 됩니다.

 

 

케플러의 제 1 법칙은

각 행성은 태양을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따라

태양의 주위를 회전한다 는 타원 회도 의 법칙 입니다.

 

 

케플러 제 2 법칙은

면적 속도 일정의 법칙 으로 행성과 태양을 잇는 직선은

같은 시간 간격에서 같은 면적을 지나간다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케플러 제 3 법칙은

조화의 법칙으로 행성의 공전 주기의 제곱은 궤도 장반경의 3 제곱에 비례한다.

 

즉 해양으로부터 멀리 있는 행성 일수록 공전 주기도 길어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같은 케플러의 세 가지 법칙은 행성에 운동을 정확히 설명해 주고 있지만

이런 체계를 따르도록 지배하는 자연의 힘이 무엇인지 는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이 남은 숙제는 이제 뉴턴에게로 넘겨졌습니다. 

 

youtu.be/tIw0bObDFYo?list=PLQvhoNAcU3iFDIHfodfVG2IW5xyGAw0rN

 

 

www.sciencetimes.co.kr/news/%EC%BC%80%ED%94%8C%EB%9F%AC-%EA%B0%88%EB%A6%B4%EB%A0%88%EC%98%A4%EB%A5%BC-%EB%A7%8C%EB%82%98%EB%8B%A4/

 

케플러, 갈릴레오를 만나다 – Sciencetimes

 

www.sciencetimes.co.kr

 

youtu.be/Khpmcpny2cQ?list=PLQvhoNAcU3iFDIHfodfVG2IW5xyGAw0rN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ntostella&logNo=220810956247&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망원경의 원리 001. 갈릴레오식, 케플러식 망원경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정렬하여 멀리있는 사물을 크게 ...

blog.naver.com

youtu.be/SbxdrHFNpIQ?list=PLQvhoNAcU3iFDIHfodfVG2IW5xyGAw0rN

뉴턴은 기하학을 이용해

원궤도를 도는 달이 직선경로로부터 1초 동안 떨어지는 거리를 계산 했다.

그 값은 바로 오늘날에도 사용하는 1.4mm/sec2 이다.

달이 지표면의 사과보다 지구중심으로부터 60배만큼 더 멀리 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었다.

사과가 처음 1초 동안 지구에서 낙하한 거리는 4.9m/sec2 이다.

뉴턴은 지구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중력의 세기가 약해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달이 미치는 중력의 세기가 1/60로 약해지는 것을 의미할까. 아니다.

실제로 중력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1/60)²만큼 약해진다.

따라서 달이 떨어지는 거리는 4.9m의 (1/60)²인 1.4mm이어야 한다. 

 

sjoh.hannam.ac.kr/Science/middle1/index.html

 

근대의 과학자들

대전신학교 야간 1학년  류정현

sjoh.hannam.ac.kr

 

youtu.be/QWDUk9yNprc?list=PLQvhoNAcU3iFDIHfodfVG2IW5xyGAw0rN

 

갈릴레이는 사원의 천장에 매달린 램프가 일정한 속도로 흔들림을 발견하고는

맥박을 짚어서 확인한 결과,

램프의 폭과 관계없이 흔들리는 주기가 일정하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것이 곧 물리학 교과서에 빠지지 않고 나오는

단진자운동(Simple Harmonic Oscillator)의 원리이다.

진자의 주기는 진폭이나 추의 무게와는 무관하게,

오직 진자 끈의 길이에 의해서만 변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알아낸 그는,

직접 진자시계를 만드는 일에는 그다지 큰 힘을 기울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가 진자 등을 비롯한 물체의 운동에 관한 역학적 법칙의 기초를 세웠기에

훗날 좋은 시계들이 제작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었다.

 

www.sciencetimes.co.kr/news/%EC%A0%95%EB%B0%80%ED%95%9C-%EC%8B%9C%EA%B3%84%EB%8A%94-%EC%99%9C-%EC%A4%91%EC%9A%94%ED%95%A0%EA%B9%8C/

 

정밀한 시계는 왜 중요할까 – Sciencetimes

 

www.sciencetimes.co.kr

 

youtu.be/rjKpmSxzbh8?list=PLQvhoNAcU3iFDIHfodfVG2IW5xyGAw0rN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oshizo&logNo=220788718533&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물리 이야기] 케플러법칙과 만유인력법칙

케플러 법칙이라고 알려진 행성간의 운동법칙을 이야기하기 전에 저는 항상 그의 스승 티코브라헤에대한 이...

blog.naver.com

 

jbk1277.tistory.com/432

 

이야기 수학사^5-1 ~ 이야기 수학사^5-5 ~ 黃金比率(Golden ratio) ~ 건축.음악^黃金比

황금비(黃金比) ‘황금분할’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황금비율’이라고도 합니다. 영어로는 Golden ratio, Golden cut라고 씁니다. 본래는 수학에서 쓰던 말인데 지금은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단

jbk1277.tistory.com

時刻과 時間 - 365日. 12月. 30日. 7日. 24時間. 60分. 60秒. (tistory.com)

 

時刻과 時間 - 365日. 12月. 30日. 7日. 24時間. 60分. 60秒.

1일은 지구가 스스로 한 바퀴 도는 거죠. 결국 원운동입니다. 원은 10보다 12개로 조각내는 것이 쉽다고 합니다. [21] 5. 시간과 길이 - 왜 1년은 12개월이고 365일일까? 왜 1일은 24시간일까? 왜 1시간

jbk1277.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