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saemaul.or.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88&page=15&no=309
새마을운동.
1970년대에 시작한 새마을운동은 우리에게는 골동품 비슷하다.
그런데 그 새마을운동이
예전의 우리와 처지가 비슷한 개도국에서 ‘요즘’ 주목을 받고 있다면?
엇갈린 평가는 역시 우리의 문제일 뿐이고,
그들 나라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고 있다면 의미가 있는 것 아닐까.
변화가 없으면 평가도 없다.
산 코 씨는
“새마을운동은
물질과 정신의 조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일깨워줬다”고 했고,
클레멘스 씨는
“공동체 활성화,
마을사업에 대한 열의,
협동심 강화 등의 변화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클레멘스 씨는 “주지사 시절,
처음 방문한 마을에 새마을운동을 소개했더니
바로 그날부터 시작하겠다고 한 일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61022/80923474/1
60여년전
대한민국은 절대빈곤에 시달리는,
가난한 나라였다.
동족상잔의 비극
6·25전쟁(1950∼1953)이
경제기반을 파괴하고 국민을 가난의 수렁에 몰아넣었다.
그랬던 나라가
지금은 세계 무역량 10위권에 드는 경제대국이다.
세계가 놀랄 극적 변신이다.
비약적 발전의 배경엔
'새마을 운동'이라는 의식개혁 운동이 있었다.
이 운동은
한국인에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었다.
나아가 많은 개발도상국에도 영감을 주었다.
새마을 운동이 수출길에 오른 이유다.
지금껏 새마을 운동이 보급된 나라는
16개 국 64개 지역에 달한다.
포스트 코로나 준비하는 한국 근대화의 상징 '새마을 운동' (upinews.kr)
https://youtu.be/gwSctnZsx2w?list=PLPCUphu3hhtb8DTfbVL7le3yfe5HMNATh
1. 새벽 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
너도 나도 일어나 새 마을을 가꾸세
살기 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
2. 초가집도 없애고 마을 길도 넓히고
푸른 동산 만들어 알뜰살뜰 다듬세
살기 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
3. 서로 서로 도와서 땀 흘려서 일하고
소득증대 힘 써서 부자 마을 만드세
살기 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
4. 우리 모두 굳세게 싸우면서 일하고
일하면서 싸워서 새 조국을 만드세
살기 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
https://kiss7.tistory.com/1986
https://www.joongang.co.kr/article/18751128#home
https://www.yna.co.kr/view/AKR20161018132600004?site=mapping_related
보릿고개 - 새마을운동 - 한강의 기적 - 조국근대화 (tistory.com)
개원절류(開源節流) - 사과나무를 심자! (tistory.com)
'한강의 기적 ^ 새마을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朴統 막걸리 - B(맥)탁 - 박정희 傳記(1) ^ 상모리 소년 (0) | 2022.01.25 |
---|---|
철강王 ^ 박태준 일대기 - 불꽃 속으로 - POSCO 歷史(1) (0) | 2022.01.03 |
Anti^불바다(北^장사정포) - 천무(天武) - 천궁(天弓) - 현무(玄武) 시리즈 - 자주국방 ^ 방위산업 (0) | 2021.05.29 |
엄마! 외할아버지가 대통령이에요? - 언니(故^朴在玉) 마지막 길 배웅 못한 박근혜 - 박지만 異腹 누이(姉) (0) | 2021.03.28 |
뮤지컬 朴正熙 -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 님이 고이 잠든 곳에! (0) | 202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