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와 만트라(mantra, 眞言) 상자 이야기 (tistory.com)
도깨비와 만트라(mantra, 眞言) 상자 이야기
[도깨비와 만트라(mantra, 眞言) 상자] 어떤 사내가 도깨비를 몹시 무서워 했다. 그런데, 그는 재수없게도 매일 집으로 돌아 오면서 공동묘지를 지나야 했다. 일이 늦게 끝나면 한밤중에 그 공동묘
jbk1277.tistory.com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하면
결국에는 만나고,
헤어 진다고 생각하면
결국 다시 만날수가 없게 된다.
http://www.dailycc.net/news/articleView.html?idxno=264336
[세상사는 이야기] 평행선과 만남의 괴리 - 충청신문
기차다. 요란한 금속음 소리가 흩어지면서 구름이 꽈리처럼 부풀어 올랐다. 경부선 철도 너머 일망무제 벌판이 아득하다. 아득히 산봉우리가 한올 머리카락처럼 희미한 거기, 두 개의 선로가 끝
www.dailycc.net
두 직선이 다른 직선과 만날 때,
두 직선을 한없이 늘리면
같은 쪽에 있는 안쪽 각을 더해서
직각 둘보다 작은 쪽에서 만난다.
한쪽은 만나고,
다른 한쪽은 못 만난다.
https://suhak.tistory.com/1350
평행선은 무엇인가?
같은 평면에 놓여있는 서로 다른 두 직선은 만나거나 만나지 않는다. 두 직선 $l$과 $m$이 만나지 않을 때 두 직선은 평행이라고 한다. 기호로는 $$l // m$$이다. 중학교 아니 초등학생도 평행선은 서
suhak.tistory.com
(발췌)
공(空)과 무(無)는 다르다.
중생들은 견해에 집착하고,
그 견해의
가장 큰 두 줄기는 있다(有)와 없다(無)이다.
중생의 사고방식과 고정관념의 특징은
있다(有)와 없다(無),
이 두 가지에 박혀 있는 것이다.
공(空)의 이치를 모르기 때문이다.
불교의 핵심 진리를 한마디로 말하면,
공(空)이다.
공이 곧 불교적 지혜이며,
공(空)이 곧 깨달음의 근본 핵심이다.
그리고 깨달음이 곧 공(空)이다.
그래서
깨닫지 못한 중생들은 공(空)을 들으면
공(空)을 아무 것도 없는 무(無)로 여긴다.
깨달음이 없어
공(空)이 뭔지 전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공(空)은 비었다,
무(無)는 없다는 뜻이다.
그래서 이 둘은 완전히 다르다.
공(空)과 제로(0)의 관계를 보자.
불교에서는
유(有)와 무(無) 이외에
또 하나의 사고방식을 만들어
이를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그것이 공(空 = 0, Sunya)이다.
예를들어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수학적으로 말해
숫자의 가장 기초 단위는
1이라는 숫자이다.
여기에 대응되는 것은
마이너스 1이라는 숫자이다.
그런데
인도에서 수는 1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0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십(十)이라고 할 때는 1 다음에 0을 붙인다.
백(百)일 때는
1 다음에 0을 두 개 붙여 100이라고 쓴다.
그 뒤
101, 102로 써 나간다.
인도인들은
1과 0이라는 문자를 나란히 놓고
자리에 따라 수를 포현해가면서
101, 102…
또는
그 이상의 어떤 큰 수도
모두 그것만으로 처리할 수 있게 돼 있다.
여기에는
인도에서 발견(發見)한
0(Zero)이 교묘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것을 기초로 해서
숫자의 자리 잡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제로(0)란
플러스 1과 마이너스 1의 중간에 위치한다
(논리적으로 그런 것이지 실체는 없다).
그리고
그 0에 대응하는 숫자는 없다.
1에는 반드시
마이너스 1이라는 식의 대응하는 것이 있는데,
0에는
플러스 0도 마이너스 0에 대응하는 숫자가 없다.
이 0이라는 숫자는
인도인이 발견하고
아라비아인들이 인도로부터 배워서 유럽에 전했다.
http://m.blog.daum.net/511-33/12370355
<공(空)과 무(無), 그리고 0>
<공(空)과 무(無), 그리고 0> ..
blog.daum.net
아인슈타인은
그 유명한 상대성이론의 방정식에서,
질량이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다고 풀이했다.
이른바
질량보존의 법칙이 에너지 보존법칙과 연결되는 것이다.
사실,
에너지 보존법칙이라는 것도 별 게 아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숱하게 많은 에너지가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는 것 같지만,
그 에너지는
새로 생겨나지도 않고
아주 없어지지도 않는다고 한다.
에너지란
그저 형태가 바뀌거나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상태만 옮겨질 뿐,
그 전체 에너지 총량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마,
새로 생기지도 않고,
완전히 사라지지도 않는 불생불멸이,
이 지구와
우주 자체의 본성(本性)인 것이다.
상대성 이론을 이해하자
▣ 쌍둥이 역설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것은 1905년의 일이었다. 일반상대성이론은 1915년에 발표 되었다. 따라서 상대성이론은 이제 100년도 넘은 오래 된 이론이다. 그 동안 상대
toparapa.tistory.com
수학의 맛 이야기 ⑤ E=mc2 : 치명적인 매력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scienceall.com)
수학의 맛 이야기 ⑤ E=mc2 : 치명적인 매력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과학의 모든 것, 사이언스올! 과학학습, 과학체험, 과학문화 콘텐츠 제공
www.scienceall.com
https://kimjelly.tistory.com/20
우주에서의 좌표계와 시공간의 이해
우주에서의 좌표계와 시공간은 천문학 및 물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입니다. 이들을 이해하려면 여러 가지 좌표 체계와 일반 상대성 이론 등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kimjelly.tistory.com
무(無)와 비움(空)
<빼기의 법칙> '4차 산업시대의 생존코드' | 0 은 원래 인도의 범어(梵語, Sanskrit)인 ‘슈냐sunya’라는 말의 개념에서 파생되었다. 슈냐sunya는 ‘비어 있음’을 뜻하는 한자어 ‘공空’으로 표현할
brunch.co.kr
https://brunch.co.kr/@wookhwan3/2
현대물리학으로 바라본 불교사상
양자역학과 불교사상의 공통적 개념에 대하여 | 붓다가 입멸한 후, 지금까지 불교사상은 공허한 이야기로 치부되었습니다. 왜냐하면 현실적으로 너무도 맞지 않는 개념을 나열하기 때문입니다.
brunch.co.kr
https://blog.daum.net/thddudgh7/16510898
<텅 비어 있는 숫자> 零(영)과 空(공)
<텅 비어 있는 숫자> 零(영)과 空(공) 양수(陽數)의 숫자가 끝나고 음수(陰數)의 숫자로 들어 가기전에 의 숫자에 관해서 알아 보고자 합 니다. 은 "없다"의 뜻으로, 본질은 無(없을무)이지만, 無卽
blog.daum.net
https://blog.naver.com/ancit0/221095996044
반야심경(般若心經) 해석
반야심경 -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해석 초기불교의 《아함경》에서는 일체를 구성하...
blog.naver.com
반야심경(般若心經) 독음과 해석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위대한 지혜로 깨달음에 이르는 가장 중요한 가르침 觀自在菩...
blog.naver.com
https://www.youtube.com/watch?v=73PHWAB8ldY
수학의 역사^2-1 ~ 수학의 역사^2-5 ~ 숫자의 발달 ~ 0(無.空.Zero)의 發見 (tistory.com)
수학의 역사^2-1 ~ 수학의 역사^2-5 ~ 숫자의 발달 ~ 0(無.空.Zero)의 發見
왕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왕관의 진위를 알아내기 위해 고민을 거듭한 아르키메데스는 우연히 목욕탕에 들어갔을 때 몸의 부피만큼 무게가 가벼워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흥분한 그가 전라의 상
jbk1277.tistory.com
'空(Sunyata)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효(元曉)대사 - 일체유심조(一切維心造) - 마음먹기에 달렸다! - Every thing depends on only our mind (0) | 2020.09.17 |
---|---|
佛說大報父母恩重經(불설대보부모은중경) - 孝(효) ~ 3말 8되의 피(血)^8섬 4말의 젖(乳) - 어머님의 은혜를 노래하다! (0) | 2020.09.16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 斷機之敎(단기지교) (0) | 2020.05.06 |
4 X 7 = 27. 朝參暮四 (0) | 2020.04.09 |
신묘장구대다라니 (1) | 202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