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naver.com/cbg6218/222672650717
'한·미·프 3국에만 러브콜'···尹 브레인이 꼽은 8조 원전대전 '개막' (msn.com)
尹, 전력수급계획 새 판 짠다…"文 원전·친환경 에너지 믹스 재조정" (msn.com)
일본, 원전에 군사공격 대비 패트리엇 미사일·자위대 배치 추진 (msn.com)
재계와 핫라인 구축한 尹 "그간 힘드셨겠다...저와 언제든 통화" (msn.com)
걸프전은
1990년 8월 2일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발발,
1991년 4월 10일 다국적군의 완승으로 끝이 난 전쟁으로
다국적군의 승리는 곧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군수지원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걸프전 기간 중
이라크와 쿠웨이트 점령지에 투하된 폭탄의 총량은
14만1,921톤,
소모된 연료는 1개 기갑사단 기준 25만 갤런,
그리고 지상전이 벌어진 100시간 동안
다국적군 8개 사단이 사용한 연료의 양은
800만 갤런에 달하였다.
또한 해상과 공중을 통하여
미 본토로부터 수송된 물량은 767만 톤으로
군수지원의 중요성이 증명된 전쟁이라고 할 수 있다.
전쟁기간 중 군수지원 문제는
다국적군과 이라크 군 양자 모두에게
대단히 중요하고도 어려운 문제였으며
전쟁의 승패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라크는
전쟁에 대비하여 전쟁물자를 사전 비축하였으나
쿠웨이트에 배치한 전투병력은
보급제한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지조달의 한계와 병참선에 대한 다국적군의 공습으로
보급로가 차단됨에 따라
사기저하와 전투의욕의 저하로
전투력이 상실되어 투항하는 자가 속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라크는
결국 경제제재와 제공권 상실로 인한
병참선 차단으로 패자가 되었으나,
다국적군은 공지작전 개념에 입각한
전 전장 동시전투로 다량의 지원소요가 발생될 것을 예상하여
물자재고 및 분배량을 자동으로 통제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자동화 지원체제를 확립하고
전투양상에 따른 사전 소요판단과
이를 지원하는 새로운 군수지원 체계를 정립하였다.
또한 지상작전 지원을 위하여
전진보급기지 지원방식을 도입하여
대규모 전진보급기지를 건설하고,
기동부대의 전출에 따라
계속적으로 전방추진 보급기지를 진출시킴으로써
기동부대를 효과적으로 근접지원하였다.
http://www.leesiwoo.net/?p=5054
군사력을
국어사전에 “군대나 군비 따위를 종합한 전쟁수행능력.
군력(軍力)”이라 설명한다.
대한민국 합참은
“국가의 안전보장을 위한 직접적이며,
실질적인 국력의 일부로
군사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군사적인 능력과 역량”이라고 정의한다.
영어로는
Armed Forces,
Military Forces,
Military Powers 등 다양하게 표현된다.
이들 세 용어는
모두 군사력으로 번역되지만 사실은 다소 차이가 있다.
우선 Armed Forces는
현재의 군사력으로
육·해·공군 및 해병대,
경찰병력(외국의 경우 해안경비대나 국경수비대 등 포함) 등에 소속된
병력과 장비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무기를 가지고 있는 집단의 총합이다.
둘째,
Military Forces는
Armed Forces에
예비전력이 추가된 것이다.
셋째,
Military Powers는
Military Forces에 전쟁수행 잠재력이 포함된 개념으로
한 나라의 총체적인 군사력이다.
전쟁수행 잠재력에는
국가의 경제력,
과학기술 및 정보 능력,
산업생산 능력,
전쟁수행을 위한 국민의 단결,
사기와 의지,
정부의 전쟁지도 능력 등을 포함된다.
이들 세 용어 중
국어사전과 유사한 의미는
Military Force라고 할 수 있으며
세계의 많은 연구기관에서
군사력을 평가할 때도
이 개념에 의한 평가를 하고 있다.
또한 이 개념은
대한민국 합참의 정의와도 일맥상통한다.
출처 : 미래한국 Weekly(http://www.futurekorea.co.kr)
군사력의 구성요소는 유형군사력과 무형군사력
Armed Forces나
Military Force는
크게
유형군사력과
무형군사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형군사력은
동원부대를 포함한 병력과
무기체계의 수,
전쟁비축물자의 양,
무기체계의 성능 등이다.
무형군사력은
국군 통수권자를 포함한
각급 지휘관의 리더십과
전쟁지도 및 작전 지휘능력,
군대의 사기,
전략 및 전기·
전술,
훈련 정도,
동원 및 군수지원 능력 등이 포함된다.
군사력의 구성요소를
Military Powers 개념으로 확장시켜 보면
유형적 군사력에는
경제력과
군수산업을 포함한 산업생산능력이 추가된다.
무형적 군사력에는
과학기술과 정보,
정부의 전쟁지도능력,
국민의 사기와 단결,
전쟁 발발 시
싸우고자 하는 결연한 의지 등이 추가된다.
https://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199
https://www.sedaily.com/NewsVIew/1Z575R87XD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962753#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