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를 준수합니다.
^^ 曜日 같음!!! ^^
曾祖妣 諱日 ~ (陽^5.2(일) / 陰^3.21)
曾祖考 諱日 ~ (陽^8.8(일) / 陰^7.1)
어쩔 수가 ...
(참석자 4人 이하) ~ O敎^1, O敎^2, O敎^3, 然O(叔父)
[省墓祭祀 순서 : 祭主(O敎^1)]
~家屋奉祭祀(가옥봉제사) 경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슴.
~變化를 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됨.
1. 曾祖妣考 墓所 제사 ~ 告由祭는 없슴(無)
1-1.준비물 : 휴대용^제상 및 돗자리
1-2. 祭物 : 건어(북어^1.오징어^1). 과일(참외 외). 깐밤. 대추.
떡(송편 외). 식혜^1병. 법주^1병. 국희^1봉지(빵류). 미(米)밥. 나물.
콩나물국(溫). 生水(첨작^갱신用). 젓가락^2. 숫가락^2. 술잔^2. 향. 祝文(漢.韓)
*.미(米)밥. 콩나물국. 나물 ~ 敎^2가 준비해 갑니다.
~ [공통: 祭器(접시.공기외). 수^저. 컵, 水^티슈. 휴지. 보온병]
1-3. 분향 및 강신 : 제주는 분향(天.地.人) 후 술잔(반 이하)에 술을 따른 다음 모사,
빈(空)잔을 올린 다음 제주만 재배한다.
1-4. 참신(參神)^초헌 : 첫잔을 올리고, 젓가락 진설 후 참석자는 부복, 독祝 후 모두 재배
1-5. 아헌 : 두번째 잔을 올리고, 수저를 진설(젓가락 개봉으로 갈음), 참석자 모두 재배
포장된 과자류(국희 外) 개봉으로 갈음한다.
1-6. 종헌 : 세번째 잔(반잔)을 올리고, 젓가락 재진설, 참석자 모두 재배
1-7. 첨작(添酌) : 국(탕)을 내리고, 생수(숭늉)를 올린다. 네번째 잔(첨잔)을 올리고,
젓가락 재진설(후식이므로 과일류에), 참석자 모두 재배
1-8.유식(侑食) ; 女 참석의 경우 우선
참석자중 여자가 젓가락을 손잡이가 서쪽(처음과 반대) 방향으로
재진설 후 재배한다(원래는 4배).
이때, 조상님의 기호음료인 식혜를 올린다.
여자가 불참이므로 叔父(然O)가...
~ 후토(后土)제 시간동안 대기 후 철상 및 음복(조상님이 음식을 드시는 시간)
2.后土祭(土地神 및 조상님에게 감사드림) : 祭主(然O). 독祝(敎^2)
원래는 북향 제사를 기준時 동북방향(오른쪽 치우침: 1시 방향) 장소에서…
2-1.제주는 술잔(반 이하)에 술을 따른 다음 모사,
빈(空)잔을 올린 다음 제주만 재배한다.
2-2. 술잔을 올리고, 젓가락 진설 후 제주는 부복, 독祝 후 모두 재배
건어(오징어^1). 소주^1병. 젓가락^1. 술잔^1. 后土^祝文(韓)
3.사신(辭神) : 참석자 모두 재배.(조상님이 가십니다)
4.납주(納主) : 지방(있을 경우)과 축문을 소각.(조상님을 배웅 합니다)
5.철상 및 음복 ~ 밥+떡+탕 外
6.墓所別 省墓 ~ 祖考妣. 從祖考妣. 考妣. 叔考. ~ 祝文無
(역할 분담하여 참배도 가능함)
曾祖妣考合祭 代事省墓祭祀 祝(증조비고합제 대사성묘제사 축) ~ 漢
維(유)
歲次 辛丑(신축) 參月 庚寅(경인)朔 貳十壹日 庚戌(경술) 孝曾孫 O敎^1
敢昭告于(감소고우) 宜當(의당)
家屋奉祭祀(가옥봉제사) 事勢不逮(사세불체) 前後事緣(전후사연) 將事未得(장사미득)
代事省墓(대사성묘) 奉行(봉행) 墓所祭祀(묘소제사)
顯曾祖考 處士府君之墓(현증조고 처사부군지묘)
顯曾祖妣 儒人密陽朴氏之墓(현증조비 유인밀양박씨지묘) 勢序遷易(세서천역)
曾祖妣考(증조비고) 合祭(합제) 諱日復臨(휘일부림)
追遠感時(추원감시) 不勝感慕(불승감모) 不得己(부득이)
世變俗異(세변속이) 今辛丑年(금신축년) 曾祖妣 諱日(증조비 휘일) 午時(오시)
曾祖妣考(증조비고) 奉行合祭(봉행합제)
代事省墓祭祀(대사성묘제사) 敢昭告于(감소고우)
謹以(근이) 淸酌庶羞(청작서수) 恭伸奠獻(공신전헌) 尙(상)
饗(향)
曾祖妣考合祭 代事省墓祭祀 祝(증조비고합제 대사성묘제사 축) ~ 韓
維(유)
歲次 辛丑(신축) 參月 庚寅(경인)朔 貳十壹日 庚戌(경술)날에 孝曾孫 O敎^1는 宜當(의당)
家屋奉祭祀(가옥봉제사)이나
事勢不逮(사세불체) 前後事緣(전후사연)으로 將事未得(장사미득)이므로
代事省墓祭祀(대사성묘제사)로 奉行(봉행)하게 되었슴을
顯曾祖考 處士府君之墓(현증조고 처사부군지묘)
顯曾祖妣 儒人密陽朴氏之墓(현증조비 유인밀양박씨지묘)에 감히 告하나이다
이제 해가 바뀌어 시속에 따른 曾祖妣考 合祭날이 돌아오니
지난날의 감회가 깊고 깊어 사모하는 정을 이길 수 없나이다
不得己(부득이) 今辛丑年 부터는 시속에 따라서 曾祖妣 煇日(증조비 휘일) 午時(오시)에
曾祖妣考(증조비고)의 奉行合祭(봉행합제)를
代事省墓祭祀로 모시겠슴을 감히 告하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공손히 차려서 올리오니 강림하시어
흠향하시옵소서
曾祖妣考合祭 代事省墓祭祀 后土祭祝(증조비고합제 대사성묘제사 후토제축) ~ 韓
維(유)
歲次 辛丑(신축) 參月 庚寅(경인)朔 貳十壹日 庚戌(경술)날에 曾孫 O敎^3는
曾祖妣考(증조비고) 奉行合祭(봉행합제)를 代事省墓祭祀(대사성묘제사)로 올렸슴을 감히
土地神께 고하나이다
顯曾祖考 處士府君之墓(현증조고 처사부군지묘)
顯曾祖妣 儒人密陽朴氏之墓(현증조비 유인밀양박씨지묘)와 階下(계하) 七位의 묘소를
시절에 따라 돌봐 주신 것은
土地神의 은덕이라 믿고 있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포로 차려서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뿌리를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辛丑年(2021) 佑永文中 ^ 秋夕茶禮(陰^8.15/추석차례)는 先塋^代事省墓茶禮(선영 대사성묘차례)로 갈음하여 午時~未時(11時~15時)경에 모십니다. (0) | 2021.09.15 |
---|---|
圃庭公派 - 辛丑(2021) 仲秋(중추.秋夕) 伐草 (陽9.10^陰8.4.금) - 9명 참석 - 辛丑(2021. 11.14.日曜/陰^10.10) 時祭는 모선재(慕先齋)에서 (0) | 2021.09.11 |
辛丑年(2021) 寒食(4/5. 월) - 先塋 ^先考妣 塚域 - 莎草 완료 (0) | 2021.03.25 |
辛丑年(2021) 祖考妣 ^ 合祭- 代事省墓祭祀로 모셨습니다 (0) | 2021.03.15 |
辛丑年(2021) 顯祖考妣 ^ 合祭도 CV^19 계속 땀시 代事省墓祭祀로 ... (0) | 202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