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루먼 대통령 동상 뒤편엔
‘딘, 무슨 수를 써서라도 저 개자식들을 막아야 합니다
(Dean, we’ve got to stop those sons of bitches no matter what.”)’라는
문구가 새겨졌다.
6·25전쟁이 발발했다는
딘 애치슨
당시 미 국무장관의 보고를 받은 그가 한 말로 알려져 있다.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yeongnam/2023/07/28/AZ5WRCEAHZBRZOSDIHBBX6LZFA/
트루먼 동상 새김글 “무슨 수 써서라도 저 ×자식들 막아야”
트루먼 동상 새김글 무슨 수 써서라도 저 ×자식들 막아야 칠곡 다부동 전적기념관서 이승만·트루먼 동상 제막식
www.chosun.com
잊혀져가는 유기오(6.25) - 백마고지 ^진내 포사격 - 낙동강방어선 ^다부동 전투 - 따이한^짜빈동 전투 (tistory.com)
잊혀져가는 유기오(6.25) - 백마고지 ^진내 포사격 - 낙동강방어선 ^다부동 전투 - 따이한^짜빈동
https://youtu.be/PYY7pDNExG0 홍준표 무소속 의원이 6·25전쟁 70주년을 맞은 25일 “세상이 바뀌었다. ‘전우여 잘자라’를 부르고 외치면 ‘틀딱(노인을 비하하는 말)’이 되고 시대착오적인 반공세대
jbk1277.tistory.com
https://www.chosun.com/national/people/2023/07/05/ZW5C2XKCQJCQVCT3RM55YNQFJI/
‘6·25 영웅’ 백선엽 장군, 73년 만에 다부동에 우뚝 서다
6·25 영웅 백선엽 장군, 73년 만에 다부동에 우뚝 서다 4.2m 동상 제막식 열려...지게부대원 추모비도 들어서
www.chosun.com
Movie * 전쟁과 평화 ^ 나폴레옹과 러시아 - 힘있는 진짜 평화 vs 더러운 걸뱅이 평화 - 라인江. 한江. 드나프라江의 기적 (tistory.com)
Movie * 전쟁과 평화 ^ 나폴레옹과 러시아 - 힘있는 진짜 평화 vs 더러운 걸뱅이 평화 - 라인江. 한
https://blog.naver.com/cbg6218/223160265093 힘있는 진짜 평화 vs 더러운 걸뱅이 평화 - 라인江. 한江. 드나프라江의 기적 - Movie * 전쟁과 평화 전쟁과 평화 - 톨스토이 原著 출연진 : 오드리 헵번, 멜 페러, 헨
jbk1277.tistory.com
“할아버지 기뻐하셨을 것”...워커 장군 손자도 감동한 ‘칠곡의 품격’ (msn.com)
“할아버지 기뻐하셨을 것”...워커 장군 손자도 감동한 ‘칠곡의 품격’
28일 오후 경북 칠곡군 칠곡호국평화기념관 상공에 대형 방패연 2개가 떠올랐다. 이창석 대한민국예술연협회장이 만든 이 방패연엔 6·25 전쟁 당시 미8군 사령관이었던 故 월턴 워커(1889~1950)장군
www.msn.com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72601039930114002
“6·25 형제 전사 최임락 일병 유해 70년 만에 조카 최호종 해군상사 직접 모셔”
하와이 임시 안치 국군전사자 7위 인수식… 26일 유해 인수식 귀국 직후 최고의 군 예식으로 예우…KC-330 수송기로 모셔신범철 국방부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국군 유해인수단이 6·25 전쟁 당시 전
www.munhwa.com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3/07/28/24IA5STVJ5HH7GATCMD2JMCY5M/
“이젠 저희가 지켜드릴 것” 플레어 터졌다...영웅 7위 고국 진입 순간
이젠 저희가 지켜드릴 것 플레어 터졌다...영웅 7위 고국 진입 순간
www.chosun.com
93세의 6·25전쟁 참전용사가 '아리랑'을 열창했습니다.
주인공은
'브리튼스 갓 탤런트' 최고령 우승자로,
영국의 국민스타인 콜린 새커리인데요.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방한한 그는
"처음 한국에 왔을 때 병사들이 하도 많이 불러서,
아리랑이 애국가인 줄 알았다"며 추억했습니다.
한편 같은 날,
6·25전쟁 때 전사한 국군 유해 7구가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미군 전사자로 추정돼
북한에서 하와이로 송환됐다가,
뒤늦게 국군으로 판정되면서
73년 만에 고향 땅을 밟은 건데요.
유일하게 신원이 확인된
故 최임락 일병의 유족은
공항에서 유해를 맞이하며
편지를 낭독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