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도(風濤)> * 이노우에 야스시(井上靖) - 고려의 李舜臣 * 金方慶의 위대한 생애 - 고려.몽골 연합군의 일본원정

 

 

 

바람 風, 파도 濤자의 이 풍도란 소설의 주인공은 몽골제국인 원나라에 지배당하고 있던 고려 시대의 장군 金方慶(김방경)이었습니다. 당시 몽골은 일본으로 원정하기 위하여 고려의 남해안, 지금의 마산 부근에서 함선을 건조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나라 기술자들 3만5000여 명이 동원되어 900여 척의 배를 만들었습니다.
  
  제1차 원정은 서기 1274년 고려 충렬왕 원년이었습니다. 이때 동원된 원정군은 몽골군과 중국 漢族(한족) 군대를 합쳐서 2만5000명, 고려군이 8000명, 키잡이, 안내자, 뱃군을 합쳐서 6700명으로서 총 4만을 넘는 大軍(대군)이었습니다. 고려군의 사령관은 김방경이었습니다. 이 원정군은 합포, 즉 지금의 마산항을 출발하여 대마도에 상륙했습니다. 간단하게 이 섬을 점령한 연합군은 9일 뒤에는 일본 큐슈 연안에 있는 잇기 섬을 점령했습니다. 대마도와 잇기 섬의 영주들은 모두 싸우다가 죽었고 일본 무사들은 도무지 상대가 되지 않았습니다. 잇기 섬을 점령한 5일 뒤에는 드디어 하카다만에 당도했습니다. 하카다는 지금의 큐슈 후쿠오카입니다.

 

https://archivesnews.com/client/article/viw.asp?cate=C06&nNewsNumb=20140314288 

 

'고려의 李舜臣' 金方慶의 위대한 생애

일본 작가 이노우에 야스시가 감동하여 그를 주인공으로 '風濤'라는 소설을 썼다. |

archivesnews.com

 

https://youtu.be/eyoW-7J3gkw

 

https://namu.wiki/w/%EC%9B%90%EB%82%98%EB%9D%BC%EC%9D%98%20%EC%9D%BC%EB%B3%B8%EC%9B%90%EC%A0%95?rev=1071 

 

원나라의 일본원정 - 나무위키

1281년 음력 5월 21일, 동로군이 쓰시마 섬을 공략했지만, 이번에는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던 저번과 달리 저항이 심해서, 점령도 못하고 물러나야 했다. 10일 간 휴식을 취한 동로군은 음력 6월 6일

namu.wiki

 

 

https://blog.naver.com/aulerbrian/221661157227

 

여몽연합군ㅡ일본정벌(1274년과 1281년에 이루어진 원나라의 일본 원정) <폄>

. 쿠빌라이 칸의 지시로 인해 총 2차례 일본 정벌을 감행 하였으나, 태풍과 몽골군의 전투의지 부족 등으로...

blog.naver.com

 

https://youtu.be/0gIeOWCtdIQ

 

 

역사소설가 이노우에 야스시(井上靖)는 ‘원구(元寇)’ 혹은 ‘몽고 내습(蒙古來襲)’으로 불리던 일본 정벌을 고려의 입장에서 쓴 소설 <풍도(風濤)>를 1963년 발표했다.

 

고려 원종 7년(1266년), 원 세조 쿠빌라이는 고려에 조서를 보낸다. 일본과 통교하고자 하니 그 안내역을 고려가 맡으라는 것이다. 고려로서는 난감하기 이를 데 없는 요구였다.

 

“이 일의 책임은 오로지 경이 알아서 지도록 하라. 풍도 험난을 이유로 삼지 말며, 일찍이 한 번도 통호(通好)한 적이 없다는 것을 구실로 삼아 변명하지 말라.” 여기에서 ‘경’은 원종을 지칭하는 것이고 바람과 물결이 험하다고 핑계 대지 말라고 으름장을 놓은 것이다.

 

https://v.daum.net/v/20211108210156597

 

풍도 - 이노우에 야스시 [최준우의 내 인생의 책 ②]

[경향신문] 역사소설가 이노우에 야스시(井上靖)는 ‘원구(元寇)’ 혹은 ‘몽고 내습(蒙古來襲)’으로 불리던 일본 정벌을 고려의 입장에서 쓴 소설 <풍도(風濤)>를 1963년 발표했다. 고려 원종 7

v.daum.net

 

https://youtu.be/7XOnlKTzU4U

 

https://namu.wiki/w/%EC%9B%90%EB%82%98%EB%9D%BC%EC%9D%98%20%EC%9D%BC%EB%B3%B8%EC%9B%90%EC%A0%95

 

원나라의 일본원정 - 나무위키

1281년 음력 5월 21일, 동로군이 쓰시마 섬을 공략했지만, 이번에는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던 저번과 달리 저항이 심해서, 점령도 못하고 물러나야 했다. 10일 간 휴식을 취한 동로군은 음력 6월 6일

namu.wiki

 

https://www.joongang.co.kr/article/21096840#home

 

"원의 일본 원정 실패 원인은 '가미카제(神風)' 가 아니었다" | 중앙일보

1274년(1차 원정)과 1281년(2차 원정)의 원정은 모두 실패했다. 그렇다면 퇴패 원인은 무엇일까? 핫토리 관장은 원정에 나선 몽골군 병력이 부풀려졌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핫토리 관장은 7년 뒤 이

www.joongang.co.kr

 

 

 

 

https://m.blog.naver.com/dlguddnr1231/221440679639

 

몽골을 막아낸 신의바람, 가미카제

1940년대 2차세계대전이 끝나갈 쯤이 되자 일본은 미국에게 무너지고 있었다. 결국 일본이 마지막으로 한 ...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mcst_pr/221354183454

 

가미카제 특공대의 원래 이름은?!

최근 이웃 나라인 일본에서는 태풍 '제비'의 여파로 도로와 건물이 무너지고 모든 건물이 정전되는 등 큰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jazztv2/221642048279

 

고려 원종ㅡ여몽연합군ㅡ일본정벌

1274년과 1281년에 이루어진  원나라의 일본 원정.  쿠빌라이 칸의 지시로 인해 총 2차례 일본 정벌을 감행...

blog.naver.com

 

몽고군
고려군

 

일본군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ndudwp99&logNo=221319738125&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당시 3국 갑옷

이번에는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시기의 갑옷을 그려봤습니다. 전체적으로 몽고습래회사(蒙古襲來繪詞/몽고...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