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空(Sunyata)의 향기!

如是我聞(여시아문) -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 아난다(Ananda. 阿難陀)와 마하가섭(摩訶迦葉)

 

 

여시아문(如是我聞) -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불교 경전의 첫머리에 쓰는 용어
[같을 여(女변/3획) 옳을 시(日변/5획) 나 아(戈변/3획) 들을 문(耳변/8획)]

 

이와 같이(如是) 나는 들었다(我聞),

또는 내가 들은 바는 이와 같다는 뜻의 이 말은

불자가 아니라도

불경을 암송할 때 처음 나오는 것이라고 알 수 있을 정도로 잘 알려져 있다.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는데

조금도 거짓이 없이 진실 되게 옮긴다는 의미를 갖는다.

我聞如是(아문여시), 聞如是(문여시)라고도 한다.

 

한자: 如是我聞 (여시아문) (wordrow.kr)

 

한자: 如是我聞 (여시아문)

如是我聞 (여시아문)의 의미: 모든 불경의 첫머리에 붙은 말.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라는 뜻으로, 불경이 석가모니로부터 들은 내용을 전하는 것이라는 것을 밝혀서 불경이 곧 부처의 말이

wordrow.kr

 

 

여시아문(如是我聞) - 고전 읽기 - 道 房 이야기 (daum.net)

 

여시아문(如是我聞)

여시아문(如是我聞)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는 뜻으로, 불교 경전의 첫머리에 쓰는 용어이다.如 : 같을 여(女/3)是 : 옳을 시(日/5)我 : 나 아(戈/3)聞 : 들을 문(耳/8)(유의어)문여시(聞如是)아문여시(

m.cafe.daum.net

 

 

여시아문(如是我聞) (daum.net)

 

여시아문(如是我聞)

  부처님의 다비가 끝나고 사리를 나눈 뒤에 제자 가운데 가장 나이도 많고 공행하기로 유명하고 도덕이 높은 마하가섭 존자는 부처님을 대신한 교단의 통솔자가 되었다. 가섭존자는 이미 아라

blog.daum.net

 

불교의 ‘여시아문(如是我聞)’은

유교의 ‘공자왈’과

기독교의 ‘예수, 가라사대’와는 방점의 주체가 다르다.

 

말[가르침]을 편 주체보다는

말을 들은 주체에 방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그 누가 아닌 내가 들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내가 들었다’는 그 말 속에는

내가 들은 그 말에 대한 진실성과 책임감을 보증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누가 말을 했기 때문에 그 말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내가 들은 그 말이 실제 진실함을 나 스스로 확인하였기 때문에

그 말을 소중한 가르침으로 되뇌며 가슴에 새기는 것이다.

 

여시아문(如是我聞),

나는 그 가르침을 이와 같이 진리로서 확인했다는 것이다.

말과 침묵, 그리고 이심전심의 소통 / 윤종갑 < 좋은말 나쁜말 < 특집 < 기사본문 - 불교평론 (budreview.com)

 

말과 침묵, 그리고 이심전심의 소통 / 윤종갑 - 불교평론

-중관과 선불교의 언어관과 말문화 분석 1.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는 ‘여시아문’으로 시작된다.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이를 잊지 않고 항상 되새기면서 시작된 것이다. 이러한 불교의 시작은

www.budreview.com

 

‘아난과 가섭’, 중국 당, 돈황 제45굴. 출처 : 법보신문(http://www.beopbo.com)

 

https://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5040 

 

1. 작자미상, ‘아난과 가섭’ - 법보신문

“아난은 안 됩니다.”마하가섭의 목소리는 단호했다.“아난은 부처님을 가장 가까이에서 모신 제자입니다. 그런데 왜 안 된다는 말씀입니까?”여기저기서 웅성거리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www.beopbo.com

 

붓다(Buddha)와 아난다(Ananda. 阿難陀)

 

https://blog.daum.net/kshan48/8751374

 

(6) 붓다를 따라 출가한 아난다(Ānanda), 밧디야(Bhaddiya), 아누룻다(Anuruddha), 낌빌라(Kimbila), 바구(Bhag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 (6) 붓다(Buddha)를 따라 출가(出家)한  아난다(Ānanda), 밧디야(Bhaddiya), 아누룻다(Anuruddha), 낌빌라(Kimbila), 바구(Bhagu)와 우빨리(Upāli)의 행적(行跡)들 팔리어(Pali語)..

blog.daum.net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oreabbtv&logNo=221639314064 

 

[불교용어] 부처님 십대제자(十大弟子) 라후라 / 아난다

KBB불교방송 불교 용어 [부처님 십대제자] 세 번째 이야기 라후라, 아난다 오늘의 생활불교 불교 용어는...

blog.naver.com

 

[불교용어] 부처님 십대제자(十大弟子) 마하가섭, 아나율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불교용어] 부처님 십대제자(十大弟子) 마하가섭, 아나율

KBB불교방송 불교 용어 [부처님 십대제자] 두 번째 마하가섭, 아나율 오늘의 생활불교 불교 용어는 부처...

blog.naver.com

 

[불교용어] 부처님 십대제자(十大弟子) 사리불, 마하목건련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불교용어] 부처님 십대제자(十大弟子) 사리불, 마하목건련

KBB불교방송 불교 용어 [부처님 십대제자] 첫 번째 사리불, 마하목건련 오늘의 생활불교 불교 용어는 부...

blog.naver.com

 

[불교용어] 부처님 십대제자(十大弟子) 수보리, 부루나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불교용어] 부처님 십대제자(十大弟子) 수보리, 부루나

KBB불교방송 불교 용어 [부처님 십대제자] 세 번째 이야기 수보리, 부루나 오늘의 생활불교 불교 용어는...

blog.naver.com

 

 

가섭존자는

일승법(一乘法)을 드날리어 중생을 이롭게 하고

2교(대승과 소승)를 펴서 백성들을 제도하니,

진실로 타심통(他心通)을 얻으셨으며

끝끝내 나[我]라는 생각이 없으셨다.

 

45년 동안 세상에 설법하시면서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하고는 아난에게 말하였다.

 

‘여래께서 정법안장(正法眼藏)을 나에게 맡기셨는데,

나는 이제 늙어 부처님의 승가리옷을 가지고

계족산(鷄足山)에 들어가서 미륵불(彌勒佛)의 하생을 기다리겠다.

 

그대는 부처님의 분부를 잘 받들어

바른 법을 퍼뜨려서 끊이지 않게 하라.

나의 게송을 받아라.

법을 법답게 하는 본래의 법에는

(法法本來法)
법도 없고 법 아닌 것도 없다.

(無法無非法)
어찌 한 법안에

(何於一法中)
법과 법 아닌 것이 있을 수 있으랴.

(有法有非法)>

 

http://www.buddhism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9080 

 

마하가섭과 전의설(傳衣說) ::

마하가섭은 석가모니 십대제자(十大弟子)의 한사람으로서 원래 바라문계급 출신이었다. ‘가섭(迦葉)’은 바라문계급의 성(姓)으로서, 당시 석가모니의 제자 중에는 가섭이라는 성을 가진 제자

www.buddhismjournal.com

 

 

https://blog.daum.net/511-33/12370299

 

<마하가섭(摩訶迦葉, 산스크리트어 Mahā-kāśyapa) 존자 이야기>

            <마하가섭(摩訶迦葉, 산스크리트어 Mahā-kāśyapa) 존자 이야기>                                    마하가섭 존자는 부처님 십대 제자 중 제일인자..

blog.daum.net